Familiar Series 2025


Artist Statement
This new body of work explores the question of how humans and animals might share identity and spirit. Across cultures, echoes of this idea appear in different forms: the Patronus of modern myth, the totems of ancestral tradition, the familiars of folklore, and the philosophy of animism, where all living beings are imbued with presence and meaning.
Each sculpture and drawing is conceived as a dialogue between animal and human, scaled to life-size proportion. The head of each animal dictates the size of the paired human head, from the intimate sparrow to the monumental whale. These works are presented as pairs — two identities mirrored, entwined, and in conversation. The drawings act as companions, tracing this evolving exchange between form and spirit.
For a Korean audience, this idea resonates with cultural traditions. The Inmyeonjo (인면조) — a mythological bird with a human face, painted on ancient tomb walls — suggests the merging of animal and human as a bridge between worlds. The legend of Ungnyeo (웅녀), the bear who transformed into a woman and became the mother of Korea’s founding figure, reveals the profound intertwining of human and animal in Korean creation mythology.
By re-imagining and expanding the familiar idea of a ‘spirit animal,’ these works invite reflection on empathy, humility, and reciprocity. What if the animal world also imagined us, just as we have long projected ourselves into them? Here, human and animal identities blur, animated by a shared presence.
(한국어)
이번 연작은 인간과 동물이 어떻게 정체성과 영혼을 공유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이 개념은 다양한 문화 속에서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현대 신화의 패트로누스, 조상 전통의 토템, 민속의 패밀리어, 그리고 모든 존재에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보는 애니미즘의 철학 등이 그 예다.
각 조각과 드로잉은 동물과 인간의 머리를 짝지어 대화를 나누듯 실제 크기로 제작된다. 동물 머리의 크기가 짝을 이루는 인간 머리의 스케일을 규정하며, 참새의 친밀한 규모에서 고래의 장대한 규모까지 이어진다. 작품은 한 쌍으로 제시되어 두 정체성이 거울처럼 마주보고 얽히며 대화를 이어간다. 드로잉은 이 진화하는 교류를 형상과 정신의 영역에서 기록한다.
한국의 전통 속에서도 이 주제는 공명한다. 고분 벽화에 그려진 인간 얼굴을 한 신화적 새 인면조(人面鳥)는 인간과 동물이 세계를 잇는 다리임을 보여준다. 또한 곰에서 여인으로 변해 한민족의 시조의 어머니가 된 웅녀(熊女)의 전설은 인간과 동물의 정체성이 얼마나 깊이 얽혀 있는지를 드러낸다.
익숙한 ‘영혼의 동물’ 개념을 재해석하고 확장함으로써, 이 작업은 공감과 겸손, 상호성을 성찰하게 한다. 우리가 오랫동안 동물에게 자신을 투영해왔듯, 만약 동물 세계가 우리를 상상한다면 어떨까. 여기서 인간과 동물의 정체성은 공유된 존재감 속에서 서로 스며든다.